[5분 자유발언] 경기도의회 남종섭,송치용,김경희,이영주,황대호,권정선 의원

  • 기사입력 2019.08.26 21:22
  • 최종수정 2023.03.26 22:54
  • 기자명 이성민PD

 

[더원방송]  경기도의회가 26일 제338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남종섭,송치용,김경희,이영주,황대호,권정선 의원의 5분자유발언이 이어졌다.

 

▲     ©김경훈 기자

 남종섭 경기도의회 더불어민주당 총괄수석은 “다시는 지지 않는 나라, 아무도 흔들 수 없는 나라를 만드는데 더불어민주당이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남종섭 총괄수석은 최근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 “대한민국이 안보상 믿을 수 없는 국가라면서 경제도발을 자행해 신뢰관계를 깨뜨린 것은 일본정부”라면서 “신뢰할 수 없는 상대하고 국가안보와 관련된 매우 중요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이다”면서 지지하는 입장을 보였다.

 

송치용 경기도교육위원회 위원은 사립유치원의 비리를 철저히 파헤치고 유아교육을 정상화시키라고 강력히 요구했다.

 

송 의원은 "경기도교육청의 김거성 감사관실은 시민감사관들과 함께 열과 성을 다해 비리 사립유치원들을 감사했는데 현재의 이재삼 감사관실은 비리사립유치원 감사의 걸림돌이 되고 말았다"며, "전수감사를 핑계로 비리사립유치원의 범죄가 가장 극심했던 2014년~2015년을 감사기간에서 제외했고, 감사기간을 3년으로 단축했으며, 파주 예일·예은 유치원, 시흥 궁전유치원에서의 감사결과에서 보듯 엄청난 횡령과 범죄수익 발생이 그 시기에 있었다"고 말했다.

 

김경희 경기도의회 제2교육위원회 의원은 도내 27개 시·군으로 확대되고 있는 혁신교육지구사업이 정작 충분한 인력지원 없이 추진되고 있어 오히려 지자체와 교육청간 갈등의 골만 깊어지고 있다며 센터에 대한 인력지원 확대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인디언 속담처럼 혁신교육지구는 온 마을이 힘을 모아 한 아이를 키우는 마음으로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하지만 학교 교육에 대한 충분한 이해 없이 예산만 지원하는 구조 속에서는 선심성·일회성 사업만이 추진되어 혁신교육에 걸맞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이영주 경기도의회 의원은 최근 제기되고 있는 특례시 지정 촉구 주장들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나섰다.

 

이 의원은 “특례시가 되면 재정수입도 늘고 자체적인 사업 권한이 늘어나는 등 많은 장점이 있겠지만, 여기저기서 특례시 지정을 요구하고 나설 경우 일부 ‘잘 나가는 도시’를 중심으로 ‘나홀로 지방자치’ 경쟁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특례시 지정 주장들에 비판적 입장을 보였다.

 

이 의원은“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동북부 낙후지역을 도정의 중심에 세우고 지역균형발전의 기초를 튼튼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황대호 경기도의회 제2교육위원회 위원이 경기도의회가 지금까지 추구해 온 역할과 소명을 위해서도 일본 전범기업을 기억해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워야 한다며 이번 회기중 '경기도교육청 일본전범기업 기억에 관한 조례안'의 심의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조례안은 객관적으로 조사된 일본 전범기업이 생산한 제품에 대하여 어떤 역사가 있는지 학생들이 스스로 기억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통해 지도하고, 학생 스스로 기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한 것이다”고 말하고, “제2의 독립운동이라는 불매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계신다”고 말하고, “100년전 삼일운동의 함성과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촛불을 들었던 우리 국민의 저력이다”며, “경기도의회도 도민의 뜻을 담은 조례안 심의에 적극 나서 달라”고 주문했다.


권정선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은 경기도의 취약보육에 대한 지원 강화를 강력히 촉구했다.

 

권 의원은 영유아보육법에 근거한 취약보육은 영아, 장애아, 다문화아동 등에 대한 공적 보육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화된 것임에도 수요자에 대한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경기도의 취약보육 정책에 대한 강도 높은 비판으로 시작했다.

 

권 의원은 “맞벌이와 한부모, 다문화가족이 증가하고 있고 장애아에 대한 전문적 돌봄의 필요성이 점점 증대되고 있지만, 취약보육이 처음으로 실시된 2008년 이후 국비지원 사업 이외에 경기도만의 독자적인 정책은 전무후무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